[작성자:] du

  • Proxmox 재부팅 시 컨테이너 자동시작

    Proxmox VE에서는 각 LXC 컨테이너(VM도 마찬가지)에 “부팅 시 자동 시작(onboot)” 옵션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


    1. CLI로 설정하기

    원하는 컨테이너 ID가 101 이라고 가정하면, 다음 명령으로 “부팅 시 자동 시작”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컨테이너 101을 부팅 시 자동 시작하도록 설정
    pct set 101 --onboot 1
    
    # (선택) 자동 시작 순서 지정 (낮을수록 먼저 시작)
    pct set 101 --bootorder 10
    
    # (선택) 시작 전 지연 시간 지정 (초 단위)
    pct set 101 --startup-delay 30

    • –onboot 1 : 호스트 부팅 시 CT 자동 시작

    • –bootorder N : 여러 CT가 있을 때 낮은 번호부터 순차 시작

    • –startup-delay S : 앞선 CT가 시작된 뒤 기다릴 시간

    설정이 완료되면 /etc/pve/lxc/101.conf 파일 안에 다음 줄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nboot: 1
    bootorder: 10
    startup-delay: 30


    2. GUI(Web UI)에서 설정하기

    1. Proxmox 웹 UI에 로그인

    2. 왼쪽 트리에서 해당 노드 → 컨테이너(CT) 선택

    3. 상단 탭에서 Options 클릭

    4. Start at boot 항목 더블클릭 → Yes 로 변경

    5. Boot orderStart/Stop order (delay) 항목도 필요에 따라 편집 가능

    # 시스템 재부팅
    reboot
    
    # 부팅 후 Proxmox 노드에서
    pct list | grep 101
    # STATUS 열이 'running' 으로 표시되면 자동 시작된 것
  • Men’s March Madness 가 뭘까? 미국에서 화제인 이유

    🏀 Men’s March Madness란? 미국이 열광하는 대학 농구 토너먼트

    혹시 “Men’s March Madness”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나요?

    매년 3월이 되면 미국에서는 축구도, 야구도 아닌 대학 농구로 나라 전체가 들썩입니다.

    바로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 일명 Men’s March Madness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 뜨거운 이벤트가 뭔지, 왜 그렇게 인기 있는지 한눈에 알아보겠습니다 🔍

    Keytron Jordan, CBS Sports design

    🗓 March Madness란?

    March Madness는 미국 **NCAA (전미대학체육협회)**가 주관하는

    남자 디비전 I 대학 농구 챔피언십이에요.

    • 매년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약 3주간 진행

    • 전국 68개 대학 농구팀이 참가

    단판 승부로 진행되는 토너먼트

    • 지면 끝! 이겨야 살아남는 서바이벌 방식

    그래서 이름 그대로 “Madness (광란)“이라고 불릴 만큼

    매일매일 이변과 반전이 가득한 대회입니다.

    “플로리다 게이터스(Florida Gators)가 전체 1번 시드인 오번 타이거스(Auburn Tigers)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2025년 남자 전국 챔피언십 결승전에 진출했다.”
(사진 출처: Jamie Squire/Getty Images)
    “플로리다 게이터스(Florida Gators)가 전체 1번 시드인 오번 타이거스(Auburn Tigers)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2025년 남자 전국 챔피언십 결승전에 진출했다.”
    (사진 출처: Jamie Squire/Getty Images)

    📣 왜 그렇게 인기가 많을까?

    1️⃣ 단판 승부의 짜릿함

    한 번 지면 탈락! 그래서 매 경기마다 극한의 긴장감이 흐릅니다.

    2️⃣ 이변의 주인공은 누구?

    유명한 팀뿐 아니라, 무명팀이 강호를 꺾는 **“대이변”**이 자주 나와요.

    이게 바로 March Madness만의 매력!

    3️⃣ 전국적인 응원 열기

    학생들뿐 아니라 졸업생, 가족, 심지어 모르는 사람들끼리도

    학교 이름으로 똘똘 뭉쳐서 응원합니다.

    4️⃣ 브래킷 놀이 (Bracket Challenge)

    누가 우승할지 예측하는 **“브래킷 게임”**도 인기예요.

    직장, 학교, 친구 모임에서 상금 걸고 브래킷 맞추는 문화까지!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총정리 (3분 완성)

    ✅ 이 글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신청 방법을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혹시 “나도 건강보험 환급금 받을 수 있을까?”

    또는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이런 고민 중이신가요?

    그렇다면 잘 오셨습니다!

    오늘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공식 내용을 바탕으로,

    환급금이란 무엇인지, 누가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를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딱 3분만 투자해보세요.

    생각보다 꽤 쏠쏠한 금액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

    ✅ 건강보험 환급금이란?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낸 건강보험료나 병원비가 ‘과하게’ 납부되었을 때

    그 초과분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 병원 진료 후 본인부담금이 기준보다 많이 청구된 경우

    • 소득에 비해 건강보험료를 많이 낸 경우

    이럴 땐 건강보험 환급금을 신청해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본인부담상한제란?

    많이 들어보셨죠?

    **‘본인부담상한제’**는 건강보험 가입자가 1년 동안 부담해야 할 병원비의 상한선을 정해주는 제도예요.

    소득에 따라 최대한 낼 수 있는 금액을 정해놓고, 그 이상 낸 금액은 돌려주는 구조죠.

    예시로, 가족 소득을 기준으로 5분위에 해당하는 분이

    병원비로 700만 원을 썼다면, 상한액인 600만 원을 초과한 100만 원은 환급 대상입니다!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조회 및 신청은 온라인오프라인 두 가지로 가능합니다.

    🖥️ 온라인 조회 및 신청 방법

    가장 빠르고 편한 방법이에요.

    인터넷 뱅킹 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①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이용하기

    1.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2. 로그인 (공동인증서 필요)

    3. “본인부담금 환급 신청” 메뉴 클릭

    4. 신청서 작성 및 계좌 입력

    5. 신청 완료!

    ② The 건강보험 앱 이용하기

    1.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The 건강보험’ 앱 설치

    2. 로그인 후 ‘보험급여’ 메뉴 선택

    3. ‘본인부담금 환급 신청’ 메뉴 클릭

    4. 계좌 정보 입력 후 신청 완료!

    📝 오프라인 신청 방법

    인터넷 사용이 어렵다면?

    직접 방문 또는 우편/팩스 신청도 가능합니다.

    공단지사 방문 신청

    1.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2. 신분증 또는 인감증명서 지참

    3. 상담 후 환급금 확인 및 신청서 작성

    4. 계좌 정보 입력 후 신청 완료!

    팩스/우편 신청

    • 공단 고객센터(1577-1000)로 문의해 신청서 양식을 요청하세요.

    • 작성 후, 팩스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 환급 신청 기한 및 소멸시효

    신청 기한: 환급금이 발생한 해로부터 3년 이내

    신청 마감일: 매년 3월 31일까지

    예시: 2022년에 초과 납부한 금액 → 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 가능

    이 기간을 넘기면 **환급 권리 소멸(소멸시효)**되니 꼭 챙기세요!

  • 미장 역대급 급락, 3%대 급락 개장…S&P 5000선 붕괴

    /로이터=뉴스1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월가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 중심엔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언이 있었는데요. 예상보다 강도 높은 발언이 나오면서 투자 심리를 꽁꽁 얼려버린 모습입니다.

    📊 개장 직후 주요 지수 현황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전 거래일 대비 –1,212.98포인트(–3.17%) 하락 → 37,101.88

    S&P500 지수:

    –181.37포인트(–3.57%) 하락 → 4,892.71

    나스닥 종합지수:

    무려 –623.23포인트(–4.00%) 급락 → 14,964.56

    트럼프 전 대통령이 언급한 무역 관세 강화 발언은 글로벌 시장에도 상당한 파장을 던졌고,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급락이 눈에 띕니다. “설마 진짜?“라는 우려가 현실화되자 투자자들이 앞다퉈 리스크 회피에 나선 거죠.

    📉 왜 이렇게 떨어졌을까?

    간단히 말하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 예고는 기업들의 수출입 비용 증가, 무역 긴장 재점화를 뜻합니다. 이는 결국 기업 실적 악화 →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한 겁니다.

    📌 뉴욕증시 하락, 앞으로가 더 중요

    이번 급락은 시작일 수도, 단기 조정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앞으로 나올 경제 지표, 연준의 통화 정책,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실제 행동입니다.

  • 2025년 조기 대선 날짜, 이 날로 결정될 조짐?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상황 분석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을 상실하면서,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치러지는 조기 대통령 선거가 사실상 오는 6월 3일로 결정될 조짐이 보입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 관계자에게 전달된 이 소식은, 조기 대선 일정에 관한 정부의 긴박한 준비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선거일 지정 절차와 주요 일정

    정부는 8일 열리는 정례 국무회의에서 대선일 지정 안건을 상정한 후, 14일 마감 전까지 선거일을 공고할 계획입니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헌재의 탄핵 인용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므로, 이번 대선은 5월 24일에서 6월 3일 중 하루를 선거일로 지정해야 합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지난 4일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과 조기 대선 관련 논의를 진행하며 6월 3일 선거일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만약 6월 3일로 선거일이 확정된다면, 후보자 등록은 선거일 24일 전인 5월 11일부터 시작되고,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5월 12일부터 6월 2일까지로 예정됩니다. 또한, 공직에 있는 사람이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5월 4일까지 사직해야 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투표하고 나오는 유권자 - 출처 : Getty Images

    조기 대선의 특수성

    조기 대선인 만큼, 당선인은 별도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없이 당선 즉시 임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선관위는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 21대 대통령 선거 예비 후보자 등록을 시작한 바 있으며, 이번 대선 일정과 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예기치 못한 조기 선거 상황에서 유권자와 피선거권자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고, 행정부도 선거 준비를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늦은 날짜를 선거일로 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직선거법은 대선을 수요일에 치르도록 규정하지만, 대통령 궐위 상황에서는 별도의 요일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유연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헌법재판소와 후보자 임명 문제

    한편, 한덕수 권한대행은 대선일 지정에는 적극적이지만,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침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여러 차례 위헌 판정을 내린 전력이 있음에도, 마 후보자 임명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나오지 않으면서 야권의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오는 18일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임기가 종료되면서 헌법재판소가 6인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헌법재판소법은 심리 시 7명 이상 재판관 출석을 요구하고 있어, 마 후보자 임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